알칼리도(Alkalinity)
1. 정의
수계에서 산을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알칼리도라고 하며, 산 성분을 중화하는 데 필요한 알칼리 성분을 이에 대응하는 CaCO₃mg/L의 값으로 나타낸다.2. 종류
- 페놀프탈레인 알칼리도(P-Alk)
최초의 pH에서 pH 8.3까지 주입된 산의 양을 CaCO₃mg/L의 양으로 환산한 값을 페놀프탈레인 알칼리도라고 한다.(페놀프탈레인 지시약: 분홍색 → 무색) - 메틸오렌지 알칼리도(M-Alk)
최초의 pH에서 pH 4.5까지 주입된 산의 양을 CaCO₃mg/L의 양으로 환산한 값을 메틸오렌지 알칼리도라고 한다.(메틸오렌지 지시약: 주황 → 옅은 주황색(노란색)
3. 알칼리도 계산
\[Alkalinity(CaCO_3 mg/L)=\frac{a\cdot N \cdot 50}{V}\]· a: 소비된 산의 부피(mL)
· N: 산의 농도(eq/L)
· V: 시료의 양(mL)
· 50: CaCO₃ 당량
4. 특징
- 자연수 중의 알칼리도의 형태는 HCO₃-(중탄산염)이다.
- 수중의 알칼리도는 폐수와 지질에 의해 기인한다.
- HCO₃-가 많은 물을 가열하면 OH-가 생성되어 pH가 높아진다.
5. 수질에 미치는 영향
- 위생상 큰 영향은 없으나 쓴맛을 낸다.
- 알칼리도가 낮은 물은 완충능력이 작고 철에 대한 부식성이 있다.
- 알칼리도가 높은 물은 다른 이온과 반응하여 관내 스케일을 형성할 수 있다.
- 알칼리도는 수계에서 조류 및 수중생물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.
6. 알칼리도의 이용
알칼리도는 물의 연수화, 화학적 응집, 부식억제, 완충용량의 계산 , 산업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적합성 판단 등에 이용된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