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박테리아(세균)
- 유기물 분해 및 폐수처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미생물이다.
- 분자식: 호기성 박테리아 C5H7O2N, 혐기성 박테리아 C5H9O3N
- 성장에 필요한 BOD:N:P의 적정 비율은 100:5:1(무게비)이다.
- 염록소가 없으며, 크기는 약 0.8~5μm이다.
- 형태: 구균, 간균, 나선균 등
- 활성슬러지 공정에서 생물상의 약 95%
2. 조류(Algae)
- 염록소를 가지고 있는 단세포 또는 다세포 식물이다.
- 탄소동화작용을 하며 무기물을 섭취한다.
- 갖가지 맛과 냄새를 유발한다.
- 산화지를 이용한 수처리에서 산소공급원 역할을 한다.
- 광합성 시 수중의 CO2를 섭취하므로 수중의 pH를 증가시킨다.
- 분자식: C5H8O2N
- 종류: 규조류, 남조류, 녹조류 등
3. 균류(Fungi)
- 활성슬러지법에서 잘 침전하지 않고 벌킬(팽화) 현상을 일으킨다.
- 사상균으로서 낮은 pH(2~5)에서도 잘 성장한다.
- 분자식: C10H17O6N
- 일반적으로 폭이 5~10μm 정도이다.
4. 원생동물(Protozoa)
- 단핵이고 운동성이 있으며 광합성을 하지 않는다.
- 크기가 100μm 이내로 세포보다 크다.
- 세균이나 효모 등을 포식하므로 먹이연쇄의 중간단계를 이룬다.
- 분자식: C7H14O3N
- 종류: 위족류, 편모류, 섬모류, 흡관충 등
(위족류: 아메바, 편모류: 유글레나, 섬모류: 짚신벌레)
활성슬러지에서 원생동물의 역할
- 활성슬러지 생물 중 약 5%를 차지한다.
- 원생동물의 배설물(점액질)이 하나의 핵으로 작용하여 플록 형성을 돕는다.
- 분산세균을 포식한다.
- 미생물과의 접촉기회를 높인다.
- 폐수처리 효율을 증대기킨다.
- 운동성이 있어서 데드스페이스에서 활동이 가능하다.
5. 후생동물(Metazoa)
- 원생동물 이외의 다세포 동물을 총칭한다.
- 수중의 유기물질, 세균, 조류 및 원생동물 등을 먹이로 한다.
- 대형동물, 환형동물, 절족동물 등이 있다.
- 윤충(Rotifer, Rataria, Philodia 등)의 출현은 양호한 활성슬러지 운전, 하천의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깨끗이 처리된 정수지대로 간주한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