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표적인 수질오염물질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
1. 수은(Hg)
ⓐ 배출원: 수은전극 제조 공장, 농약 공장, 금속 공장, 정련 공장, 도료 공장 등
ⓑ 영향
- 만성중독: 언어 장애, 지각이상, 신경쇠약, 난청, 감각마비, 중추신경 장애(헌터-러셀 증후군), 미나마타병 유발(유기수은인 알킬수은이 원인)
- 급성중독: 위장병(구토, 설사), 경구염, 수족의 떨림
2. 카드뮴(Cd)
ⓐ 배출원: 정련 공장, 도금 공장, 전기기기 공장, 안료, 염화비닐 정제 등
ⓑ 영향
- 만성중독: 위장 장애, 내분비 장애, 골연화증, 신장기능 장애
- 급성중독: 기관지염, 폐부종, 신장결석, 이따이이따이병 유발
3. 비소(As)
ⓐ 배출원: 광산 정련 공장, 의약품 공장, 농약 공장, 피혁 제조업, 유리 제조, 비료(암모니아) 제조 공장
ⓑ 영향
- 만성중독: 흑피증, 색소침착, 수족의 지각 장애, 간장비대 등의 순환기 장애
- 급성중독: 구토, 설사, 복통, 탈수증, 위장염, 혈압저하, 순환기 장애 등
4. 납(Pb)
ⓐ 배출원: 도자기, 제조업, 농약, 납축전지 제조, 안료 제조, 인쇄 공업, 요업
ⓑ 영향
- 만성중독: 두통, 정신착락, 적혈구 장애(빈혈), 심근마비, 중추신경 장애, 신장 장애
- 급성중독: 급성위장병(복통, 구토)
5. 6가크롬(Cr6+)
ⓐ 배출원: 광산, 합금 제조업, 크롬 도금 공업, 피혁 제조업, 화학 공업(크롬산 제조)
ⓑ 영향
- 만성중독: 폐암, 기관지암, 미각 장애, 위장염
- 급성중독: 피부궤양, 부종, 구토, 복통, 혈뇨
6. 망간(Mn)
ⓐ 배출원: 광산, 건전지 제조, 유리, 염료 공업 등
ⓑ 영향
- 만성중독: 신경병, 파킨슨씨병(언어장애, 간경변증)
7. 구리(Cu)
ⓐ 배출원: 광산, 제련, 도금 공업, 전선 제조업, 파이프 제조업 등
ⓑ 영향
- 만성중독: 비점막의 충혈, 만성위장염, 피부궤양, 간경변, 혈색증
- 급성중독: 구토, 위통, 호흡곤란, 혈압하강
8. 아연(Zn)
ⓐ 배출원: 도금 공장, 아연 광산, 아연합금 제조 공장
ⓑ 영향
- 급성중독: 발열, 구토, 설사, 피부염
9. 시안(CN)
ⓐ 배출원: 도금 공장, 금속 정련, 석유 정제, 가스 공업, 청산가리 제조 공장
ⓑ 영향: 두통, 현기증, 의식 장애, 경련, 구토
10. PCB
ⓐ 배출원: 변압기, 콘덴서, 도료, 감압기, 접착제
ⓑ 영향: 신경내분비 장애, 간장 장애(황달), 수족마비, 카네미유증
(물에 용해(X), 유기용제 용해됨, 미생물에 의한 문해(X), 자정작용(X) → 누출시 계속 농축)
11. 유기인
ⓐ 배출원: 농약(파리티온, 메틸파라티온, 메틸디메톤, EPN) 제조, 유기인화합물, 합성세제
ⓑ 영향: 청력·언어·시력 감퇴, 두통, 현기증
12. 플루오르(F)
ⓐ 배출원: 살충제, 방부제, 유리 제조 공장, 인산 비료 제조, 알루미늄 정련 등
ⓑ 영향
- 만성중독: 위경화증, 반상치, 충치 유발, 신장염
기타 오염물질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
1. 1,1- 디클로로에틸렌
- 400ppm 이상 흡입 시 신경쇠약 증상
- 두통, 시각장애, 간기능 장애
2. 1,1,1-트리클로로에탄
- 중추신경 억제, 간장 장애 유발
3. 벤젠
- 발암성
- 피로, 두통, 식욕부진
4. 사염화탄소
- 구토, 신경 장애, 간손상
5. 셀렌
- 만성중독 시 우울증, 위장 장애 유발
6. 알루미늄
- 알츠하이머병 위험인자
7. 에틸벤젠
- 눈 및 피부 가려움증, 점막손상
8. 철
- 간종양, 간경변, 내분비 장애
9. 총트리할로메탄
- 중추신경 억제 간장 및 신장 손상
10. 크실렌
- 피부염
- 눈, 코, 인후 자극
11. 테트라클로로에틸렌
- 발암성, 중추신경 억제
12. 톨루엔
- 두통, 현기증, 피로
13. 트리클로로에틸렌
- 중추신경 억제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