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

2019년 7월 9일 화요일

자연수의 특성


1. 우수의 특성
  • 우수의 주성분은 해수와 비슷하다.
  • 우수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로 인하여 대부분 산성이다. (대기중 CO₂:300~350ppm)
  • 우수는 용해성분이 적어 완충능력이 떨어진다.
  • 오염되지 않은 우수의 pH는 약 5.6 정도이며, pH가 5.6보다 낮을 때 산성비로 정의한다. (산성비의 원인물질로는 SOx, NOx, HCl 등이 있다.)

2. 지표수의 특성
  • 지상에 노출되어 있어 오염의 우려가 크다
  • 탁도가 높고, 유기물질이 많다.
  • 광물질의 함유량이 적고, 경도가 낮다.
  • 용존 산소농도가  크고, 수질 변동이 비교적 심하다.

3. 지하수의 특성
  • 지표수가 토양을 거치는 동안 흡착 및 여과에 의해 불순물과 세균이 제거되어 지하수 내에는 불순물과 세균이 거의 없다.
  • 비교적 얕은 지하수에서는 염분농도가 하천수보다 평균 30% 정도 높다.
  • 지표수에 비해 국지적인 환경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.
  • 일반적으로 CO₂ 존재량이 많아 약산성을 띤다.
  • 자정속도가 느리고 물의 경도가 매우 높다.
  • 무기물 함량이 높고 공기 용해도가 낮다.
  • 유속이 대체로 느리고 연중 온도 변화가 매우 작다.
  • 지하수 중 천수층이 오염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.

4. 해수의 특성
  • pH는 약 8.2로 약알카리성이다.
  • 해수는 Mg/Ca 비는 3~4정도로 담수의 0.1~0.3에 비해 크다.
  • 해수의 염도는 약 35,000ppm 정도이며, 심해로 갈수록 커진다.
  • 염분은 적도 해역에서 높고, 극지방 해역에서는 다소 낮다.
  • 해수의 밀도는 약 1.02~1.07g/cm³ 정도이며,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한다.
  • 해수의 주요성분 농도비는 일정하고, 대표적인 구성원소를 농도에 따라 나열하면 Cl- > Na+ > SO4- > Mg2+ > Ca2+ > K+ > HCO3-
  • 해수의 주요 성분 농도비는 항상 일정하다.
  • 해수 내 전체 질소 중 35% 정도는 NH₃-N, 유기질소 형태이다.

물의 분포 (수권)
 지구상의 물은 해수와 담수로 크게 나뉘며, 담수는 빙하, 지하수 및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으로 나뉘어진다.

물의 함유량
  • 지구상의 물은 해수가 97%, 담수가 3%(2.8%)이다.
  • 담수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빙하이다.
    (빙하 > 지하수 > 지표수>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)
     2.15      0.6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수증기, 구름, 눈 등 → 태양 빛 반사 → 지구온도 감소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