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

2019년 7월 19일 금요일

대장균군


대장균군

1. 정의

  • Gram 음성, 무포자의 간균으로 젖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성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의 세균을 말한다.
  • 식품이나 물의 분변에 의한 오염의 지표 세균으로 사용되고 있다.

2. 특징

  • 대장균군 자체는 무해하다.
  • 대장균군은 병원균보다도 강한 세균이므로 방류수를 염소 소독했을 때, 대장균의 감소율로 병원균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.
  • 검출이 용이하고 검사법이 간단하다.
  • 수계에서 대장균군이 많이 검출되었을 경우 분변성 오염물이 유입되었음을 의미한다.

3. 시험방법

ⓐ 최적확수(MPN) 시험방법
 ① 시료를 유당이 포함된 배지에 배양할 때 대장균군이 증식하면서 가스를 생성하는데, 이때의 양성 시험관수를 확률적인 수치인 최적확수로 표시하는 방법이며, 그 결과는 MPN/100mL의 단위로 표시한다.
 ② 대장균군의 정성시험은 추정시험, 확정시험 및 완전시험의 3단계로 나눈다.
 ③ 대장균군의 수 산정식 중 Tomas 근사식
\[\frac{양성관수\times100}{\sqrt{전시료(mL)\times음성시료수(mL)}}\]

ⓑ 막여과 시험방법
 ① 막여과 방법은 다량의 시료를 여과하므로 실제의 균수에 가까운 고도의 신빙성이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 ② 실험시간이 최적확수 시험법의 1/4 정도 소요된다.
 ③ 대장균군수/100mL의 단위로 표시하는 방법이다.
ⓒ 평판집락 시험방법

시료를 유당이 함유된  한천배지에 배양할 때 1마리의 대장균군이 증식하면서 산을 생성하며 하나의 집락을 형성하는 데 형성된 집락을 개/mL의 단위로 표시한다.

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